김훈 최질의 난 – 드라마 고려 거란전쟁

김훈 최질의 난 – 드라마 고려 거란전쟁



김훈 최질의 난

김훈 최질의 난

김훈 최질의 난 관련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제가 재미있게 보고 있는 드라마. 고려 거란전쟁. 고려판 이순신이라 불려도 손색이 없을 양규 장군이 전사한 후의 상황이 전개되고 있는 요즘입니다.

이제 앞으로 나올 역사적 사건이 김춘 최질의 난인데요. 김훈과 최질은 누구이며, 그들은 왜 난을 일으켰는지 한번 알아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고려 현종 재위기에 김훈과 최질은 거란의 침입에 대처한 공적으로 인해 상장군까지 승진한 인물들이었습니다. 그러나 관직에 불만을 품은 무신들이 모여 반란을 일으키게 되었습니다. 이 반란은 1014년 음력 11월부터 1015년 음력 3월까지 약 4개월 간 지속되었습니다. 이 반란이 바로 김훈과 최질의 난이며, 그 반란의 주역 역시 김훈과 최질입니다.

김훈

김훈은 거란 침입에 대처한 공적으로 상장군까지 승진한 인물입니다. 그러나 무관으로서의 직책에 불만을 품고, 중추원사와 중추원 일직의 건의로 인해 발생한 경군 영업전을 빼앗아 백관의 녹봉에 충당하게 한 것이 무신들의 불평을 증폭시켰습니다. 이후 김훈은 최질과 함께 반란을 일으켜 장연우와 황보유의를 귀양보내고 실권을 장악했습니다. 반란 성공 이후 김훈은 무관들을 정치에 참여하도록 하였습니다.

최질

최질은 거란의 침입에 대처한 공적을 가졌으나 문관으로서의 직책을 얻지 못해 불만을 품게 되었습니다. 이에 무신들의 불평을 증폭시키는 중추원사와 중추원 일직의 건의에 가담하여 경군 영업전을 빼앗아 백관의 녹봉에 충당하려 했습니다. 반란이 일어난 후 최질은 김훈과 함께 궁궐로 들어가 문신들을 규합하고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그 결과 현종은 김훈과 최질을 처형하고 정변을 진압하였습니다.

김훈 최질의 난

1010년(현종 1)에 거란의 침입을 격퇴한 공로로 상장군까지 승진한 김훈과 최질은 문관으로서의 직책을 얻지 못해 불만을 품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중추원사 장연우 등의 건의에 따라 경군영업전을 빼앗아 백관의 녹봉에 충당하려 하자 불만이 증폭되었습니다.

이에 김훈과 최질은 박성, 이협, 최가정, 임맹 등을 비롯한 군사들과 함께 궁궐로 들어가 문신들로서 황보 유의와 장연우 등을 포박하고 왕을 협박하여 귀양보내었습니다. 이후 무신으로서 상참은 모두 문신을 겸하게 하고, 어사대와 삼사를 각각 금오대와 도정서로 개편하여 무관들이 문관을 겸하는 정사를 함부로 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이자림이 왕에게 올린 계교에 따라 현종은 이자림을 서경유수판관으로 임명하고 서경에 보내어 장락궁에서 잔치를 베풀었습니다. 그 때에 김훈, 최질, 이협, 최가정, 임맹 등 19명이 술에 취해 있던 이자림에 의해 주살되었습니다. 이후 황보 유의와 장연우를 다시 기용하고 무신들이 개편한 관직의 이름을 모두 복구했습니다.

김훈과 최질의 난은 당시 문신을 우대하고 무신을 제압하려는 정책에서 비롯된 사건으로, 이후 무신정변의 선구가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고려 초기의 정치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결론

김훈과 최질의 난은 당시 문신과 무신 간의 권력 투쟁에서 비롯된 사건으로, 고려 초기의 문란한 정치 상황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 사건은 후에 고려 정치체제의 개편과 권력 구조의 재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이것으로 김훈 최질의 난 포스팅을 마무리하겠습니다. 김훈과 최질이라는 인물은 누구이며, 왜 반란이 일어날 수 밖에 없었는지 한번 참보해보시기 바랍니다.

고려의 세종대왕이라 불리며 성군 중 한명으로 일컬어지는 고려 현종. 현종 치세에서 유일한 약점이라면 단연 김훈과 최질의 난을 들 수 있다 생각합니다.

앞으로 전개될 사건인 그들의 반란이 왜 일어났는지를 알고 드라마를 보신다면 더욱 재미있게 시청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더 다양한 역사적 사건들을 다루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재미있게 봐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척추관협착증 운동 개선 방법

MSM 효능 및 부작용 무엇이 있는지 체크하기

후추 효능 및 부작용 알아보기